강릉 유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릉 유씨는 유창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8명을 배출했으며, 유창순 전 국무총리를 배출했다. 감찰공파, 경력공파 등 여러 분파가 존재하며, 정치인, 법조인, 연예인, 스포츠 선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을 배출했다. 1985년 161,636명에서 2015년 236,871명으로 인구가 증가했으며, 정선군, 김포시, 영주시 등지에 집성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강릉 유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강릉 유씨 | |
![]() | |
기본 정보 | |
한자 표기 | 江陵劉氏 |
지역 | 강릉 |
국가 | 한국 |
기원 | |
시조 | 유전 |
주요 인물 | |
관련 인물 | 유승호 유인나 카리나 (대한민국의 가수) 유지태 유재명 유재석 유준상 유오성 유동근 유성민 유재흥 |
역사 | |
창시자 | 유전 |
중시조 | 유창 |
집성촌 | |
집성촌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용상리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부안면 상등리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신원리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월평리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오월리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유인통 유한량 유승렬 유옥우 유창순 유재흥 유민상 유수호 유대운 유남석 유승민 유상범 유기천 |
통계 정보 | |
2015년 인구 | 236,871명 |
관련 링크 | |
관련 사이트 | 강릉 유씨 대종회 |
2. 역사
시조(始祖) 유승비(劉承備)의 증손자인 유창(劉敞)은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좨주(成均祭酒) 등을 역임하였고,[5] 조선 개국공신에 책록되어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졌다.[6] 강릉 유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8명을 배출하였다. 현대에는 유창순(劉彰順) 국무총리를 배출하였다.[7]
강릉 유씨는 여러 분야에서 উল্লেখযোগ্য 인물들을 배출했다.
3. 분파
4. 인물
분야 주요 인물 정·재계 유창순 (국무총리), 유남석 (헌법재판소장), 유옥우, 유승민, 유수호, 유상범, 유민상 (국회의원), 유기천 (서울대학교 총장) 연예계 유동근, 유지태, 유준상, 유오성, 유인나, 유재석, 유재필, 유상무, 유인석 가요계 유대준 (데프콘), 유승준, 유영진, 유용하, 유지민 (카리나) 스포츠계 유영 (피겨 스케이팅), 유남규 (탁구), 유영주 (농구)
4. 1. 정·재계
성명 | 직업 | 학력 | 직위 |
---|---|---|---|
유창순 | 정치인 | 헤이스팅스 칼리지 경제학 학사 | 제15대 국무총리[9] |
유남석 | 법조인 |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 제7대 헌법재판소장[10] |
유옥우 | 정치인 | 고려대학교 법학 명예박사 | 5선 국회의원[11] |
유승민 | 정치인 | 위스콘신 대학교 경제학 박사 | 4선 국회의원[12] |
유수호 | 정치인 | 고려대학교 법학 박사 | 2선 국회의원[13] |
유상범 | 정치인 |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 2선 국회의원[14] |
유민상 | 정치인 |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 1선 국회의원[15] |
유기천 | 교육인 | 도쿄 대학 법학 학사 | 서울대학교 총장[16] |
4. 2. 연예계
4. 3. 가요계
- 유대준: 남성 가수로, 데프콘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 유승준: 남성 가수이다.
- 유영진: 남성 가수로, 작곡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 유용하: 남성 가수이다.
- 유지민: 여성 가수로, 카리나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4. 4. 스포츠계
5. 항렬자
항렬자(行列字)는 족보에서 세대 구분을 위해 이름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글자를 말한다. 강릉 유씨는 파별로 항렬자를 달리 쓰기도 한다.[3]
강릉 유씨 대행렬은 다음과 같다.
5. 1. 대동항렬
(19세)(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